☞ 유명인들의 인명별 영어 명언
※ Power Healing(파워힐링) 건강 및 명상, 본관별 성씨 블로그
1. 竪子 不足與謀(수자 부족여모)
더벅머리 아이와 더불어 어떤 일을 함께 꾀할 수가 없다.
어리고 경험이 부족한 사람과는 큰 일을 도모할 수가 없다는 말.
홍문연(鴻門宴, 홍문의 잔치)에서 범증(范增)이 항우에게 유방을 죽이라고 여러 차례 강권했지만, 항우가 실행하지 않자 범증이 화가 나서 한 말.
《사기(史記)》
2. 誰知 烏之雌雄(수지 오지자웅)
누가 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하겠는가.
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하기 어려운 것처럼 시비나 선악 등을 분명하게 가리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새들은 대체로 수컷이 암컷보다 깃털이 화려하고 몸통도 더 크지만, 까마귀는 암수가 그 형태나 빛깔이 거의 똑같고 몸통도 수컷이 조금 더 클 뿐이어서 암수를 구별하기가 어렵다.
오지자웅(烏之雌雄)이라고도 한다.
《시경(詩經)》
3. 詩言志 歌永言(시언지 가영언)
시는 마음속에 있는 뜻을 말하는 것이고, 노래는 말을 길게 뽑아 읊조리는(長吟) 것이다.
순(舜)임금이 한 말.
《상서(尙書)》
4. 愼言語 節飮食(신언어 절음식)
말을 삼가고 신중히 하며 음식을 절제한다.
《주역(周易)》
5. 言顧行 行顧言(언고행 행고언)
말할 때는 행동을 돌아보고, 행할 때는 말한대로 하고 있는지 돌아보라.
《석시현문(昔時賢文)》
6. 良賈 深藏若虛(양고 심장약허)
유능한 상인은 깊이 숨겨두고는 비어 있는 것 같이 한다.
지혜, 능력, 인품을 지닌 사람은 겉으로 드러내거나 과시하지 않는다는 말.
비슷한 말로는 도덕경에 나오는 대교약졸(大巧若拙)이 있다.
《사기(史記)》
7. 言忠信 行篤敬(언충신 행독경)
말은 삿되지 않고 믿음이 가게 하고, 행동은 도탑고 공손히 하라.
《논어(論語)》
8. 女爲 悅己者容(여위 열기자용)
여자는 자기를 좋아하는 사람을 위해 용모를 꾸민다.
《사기(史記)》
9. 力拔山 氣蓋世(역발산 기개세)
힘은 산을 뽑을 만하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하다.
용기와 기상이 월등하게 뛰어난 것을 비유하는 말.
항우가 사면초가(四面楚歌) 상황에서 읊었던 말.
《사기(史記)》
10. 五十步 笑百步(오십보 소백보)
오십 보 도망간 사람이 백 보 도망간 사람을 비웃는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大同小異(대동소이)하다는 의미.
≪맹자(孟子)≫
11. 吾日 三省吾身(오일 삼성오신)
나는 매일 세 가지를 반성한다(진실, 신뢰, 학습).
《논어(論語)》
12. 蝸牛 角上之爭(와우 각상지쟁)
달팽이 더듬이 위에서의 다툼.
세상일이란 사소한 다툼에 불과하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
蝸角之爭(와각지쟁)과 같은 의미.
《장자(莊子)》
13. 遠水 不救近火(원수 불구근화)
먼 곳의 물로 가까운 곳의 불을 끌 수는 없다.
멀리 떨어져 있으면 도움이 절실히 필요할 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비유한 말.
《한비자(韓非子)》
14. 有大德 享百福(유대덕 향백복)
덕을 많이 베풀어야 복을 골고루 누릴 수 있다.
《석시현문(昔時賢文)》
15. 有朋 自遠方來(유붕 자원방래)
벗이 있어 먼 곳에서 찾아오다.
수양과 덕행이 먼 곳에까지 다다라 믿고 따르는 사람이 생긴다는 의미.
《논어(論語)》
🍁 가을 동화 http://m.cafe.daum.net/koreanaairtravelinc/Im8P/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