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명인들의 인명별 영어 명언
☞ Power Healing(파워힐링) 건강 및 명상, 본관별 성씨 블로그
※ 顏氏家訓 ; 산둥성(山東省)에서 건강(健康:지금의 난징[南京])으로 이주한 호족(豪族) 집안의 안지추(顔之推, 531∼591)가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 전란(戰亂) · 망국(亡國) · 포로생활 등의 고난을 겪으면서 느낀 처세관을 쓴 것이다.
당시 귀족의 처세(處世)와 정치 · 사회 · 사상 · 풍속 등에 걸친 남북조(南北朝)의 사회를 묘사하여 사료적(史料的) 가치가 높다.
1. 光陰可惜(광음가석)이오 譬諸逝水(비저서수)라.
시간은 가히 아껴 써야 할 것이니, 비유컨대 시간은 흐르는 물과도 같다.
2. 守道信謨(수도신모)오 欲行一事(욕행일사)라.
도를 지키고 계획을 믿으며 한 가지 일에 매진하여 실행하라.
3. 夜覺曉非(야각효비)오 今悔昨失(금회작실)이라.
밤에 그날 아침의 잘못을 성찰하고, 어제의 실수를 오늘 참회하라.
4. 多爲少善(다위소선)이 不如執一(불여집일)이라.
이것저것 하는게 많아서 잘 하는게 적음이, 한 가지에 전념하느니만 못하다.
5. 少成若天性(소성약천성)이오 習慣如自然(습관여자연)이라.
젊어서 이뤄진 것은 천성과 같고, 습관은 자연과도 같다.
6. 有學藝者(유학예자)는 觸地而安(촉지이안)이라.
학문이나 재주가 있는 사람은 어디에 거주하든 자기가 거주하는 그곳이 곧 편안한 곳이다.
어느 한가지 기술에 유능한 사람은 어디에 가든지 밥먹고 살 수 있다는 뜻.
7. 無多言(무다언)이오 多言多敗(다언다패)라.
無多事(무다사)오 多事多患(다사다환)이라.
말을 많이 하지 말아라. 말이 많으면 실패가 많다.
일을 많이 벌이지 말아라. 일이 많으면 걱정이 많다.
8. 以勢交者 勢傾則絶(이세교자 세경즉절)이오, 以利交者 利窮則散(이리교자 이궁즉산)이라.
세력으로 사귄 사람은 세력이 기울면 끊어지고, 이익으로 사귄 사람은 이익이 다하면 흩어진다.
9. 積財千萬(적재천만)이 不如薄技在身(불여 박기재신)이오,
伎之易習而可貴者(기지이습이 가귀자) 無過讀書也(무과독서야)라.
재물 천만금을 모아도 몸에 지닌 작은 기술보다 못하고,
기술 가운데에서 쉽게 익힐 수 있으면서도 귀하게 여겨질 만한 것으로서 독서를 능가할 만한 것이 없다.
10. 춘화추실(春華秋實)
夫學者(부학자)는 猶種樹也(유종수야)니,
春玩其華(춘완기화)오 秋登其實(추등기실)이라.
일반적으로 학문은 나무를 가꾸는 것과 같아서,
봄에는 그 꽃을 즐기고 가을에는 그 열매를 거둔다.
講論文章(강론문장)은 春華也(춘화야)오,
修身利行(수신이행)은 秋實也(추실야)라.
문장을 강론하는 것은 봄꽃의 화려함과 같고,
수행(修行)의 이로움은 가을의 튼실한 열매와도 같다.
📚 안씨가훈 학문편 https://youtu.be/bZCWn9zFy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