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周易), 역경(易經), 역전(易傳)』 한문 한자 명언 명구 주역이란 역경이란 무엇인가? 뜻 원문 해석 주역의 원리 의미
☞ 유명인들의 인명별 영어 명언
☞ Power Healing(파워힐링) 건강 및 명상, 본관별 성씨 블로그
※ 周易(易經) ;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인 동시에 가장 난해한 글로 일컬어지며, 주희(朱熹)가 역경(易經)이라 이름하여 숭상한 이래로 周易은 오경(五經 ; 易經 · 書經 · 詩經 · 禮記 · 春秋)의 으뜸으로 손꼽히게 되었다.
상경(上經) · 하경(下經) · 십익(十翼, 역전 易傳)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十翼은 단전(彖傳) 상하, 상전(象傳) 상하, 계사전(繫辭傳) 상하, 문언전(文言傳) · 설괘전(說卦傳) · 서괘전(序卦傳) · 잡괘전(雜卦傳) 등 10편을 말한다.
한(漢)나라의 정현(鄭玄, 127~200)은 “易에는 세 가지 뜻이 포함되어 있으니 이간(易簡-삼라만상의 理法은 쉽고 간단하여 쉽게 알 수 있고 따르기도 쉽다)이 첫째요, 변역(變易-끊임없이 변화한다)이 둘째요, 불역(不易-끊임없는 변화 중에도 결코 변하지 않는 줄기가 있다)이 셋째다”라고 하였다.
복희씨(伏羲氏)가 팔괘(八卦)를 만들고 신농씨(神農氏)가 64괘(卦)로 나누었으며, 문왕(文王)이 卦에 사(辭)를 붙여 周易이 이루어진 뒤에 그 아들 주공(周公)이 효사(爻辭)를 지어 완성되었고, 이에 공자(孔子)가 십익(十翼)을 붙였다고 하는 것이 대개의 통설(通說)이다.
1. 愼言語 節飮食(신언어 절음식)이라.
말을 삼가고 신중히 하며 먹고 마시는 것을 절제하라.
- 頤卦(이괘)
2. 凡益之道(범익지도)도 與時偕行(여시해행)이라.
아무리 세상에 이로운 일일지라도, 모든 것이 행해지는 데에는 다 적절한 때가 있다.
- 益卦(익괘)
3. 洗心 退藏於密(세심 퇴장어밀)이라.
마음을 깨끗이 씻고, 물러나서 조용히 道와 德을 닦아라.
- 繫辭上(계사상)
4. 幾事不密卽害成(기사불밀즉 해성)이라.
일을 할 때 치밀하지 않으면 제대로 해내기가 어렵다.
- 繫辭上(계사상)
5. 二人同心(이인동심)이 其利斷金(기리단금)이요,
同心之言(동심지언)은 其臭如蘭(기취여난)이라.
두 사람이 마음을 함께 하니 그 예리함이 쇠도 자를 수 있고,
마음을 같이 하는 말은 그 향취가 난초와도 같다.
- 繫辭上(계사상)
6. 窮則變 變則通 通則久(궁즉변 변즉통 통즉구)라.
궁하면 변하게 되고, 변하면 통하게 되며, 통하면 장구하다.
- 繫辭下(계사하)
7. 上交不諂 下交不瀆(상교불첨 하교부독)이라.
윗사람과 교제하면서 아첨하지 말고, 아랫사람과 교제하면서 업신여기지 말라.
- 繫辭下(계사하)
8. 藏器於身 待時而動(장기어신 대시이동)이라.
새를 잡기 위해 도구를 몸에 지니고 있다가 적절한 타이밍에 새를 잡아라.
실력을 쌓아 두었다가 때를 기다려 움직여라.
- 繫辭下(계사하)
9. 積善之家(적선지가)에 必有餘慶(필유여경)이오,
積不善之家(적불선지가)에 必有餘殃(필유여앙)이라.
선을 쌓는 집에는 반드시 경사스러운 일들이 생기고,
불선(不善)을 쌓는 집에는 안좋은 일들이 생긴다.
- 文言傳(문언전)
10. 乾(건)은 元亨利貞(원형이정)이라.
- 乾卦(건괘)
元者 善之長也. 亨者 嘉之會也. 利者 義之和也. 貞者 事之幹也.
君子體仁足以長人, 嘉會足以合禮, 利物足以和義. 貞固足以幹事. 君子行 此四德者, 故曰 乾, 元亨利貞.
元은 모든 善의 首長이고, 亨은 아름다움이 모인 것이며, 利는 의로움의 조화이고, 貞은 사물의 근간이다.
仁을 드러냄으로써 사람들을 다스릴 수 있고,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어 禮와 합치할 수 있으며,
만사를 利롭게 하여 義로움과 화합할 수 있고,
곧음(貞)을 굳게 하여 사물의 근간이 될 수 있다.
유덕자(有德者)는 이 四德을 실행한다.
그러므로 乾(건)은 元亨利貞(원형이정)이다.
元亨利貞(원형이정)은 天道之常(천도지상)이오,
仁義禮智(인의예지)는 人性之綱(인성지강)이라.
원형이정은 자연의 변함없는 진리요,
인의예지는 사람 성품의 근본이라.
‘元(원)’은 만물이 시작되는 때로 봄에 속하며, 仁(인)으로 이루어진다.
‘亨(형)’은 만물이 성장하는 때로 여름에 속하며, 禮(예)로 실천된다.
‘利(이)’는 만물이 이루어지는 때로 가을에 속하며, 義(의)로 행해진다.
‘貞(정)’은 만물이 완성되는 때로 겨울에 속하며, 智(지)로 이루어진다.
- 文言傳(문언전)
☯️ 주역(周易)이란 무엇인가? https://youtu.be/g8C90_fYGb0
🎯 주역(周易)을 배우는 이유 https://youtu.be/aeCsE8L-O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