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허진인 열어구의 충허진경(沖虛眞經), 충허지덕진경(沖虛至德眞經) 『열자(列子)』 한문 한자 명언 명구. 탕문편, 황제편, 양주편, 설부편, 천서편
☞ 유명인들의 인명별 영어 명언
☞ Power Healing(파워힐링) 건강 및 명상, 본관별 성씨 블로그
※ 列子 ; BC 400년경 정(鄭)나라에 살았다고 전해지는 전설적인 인물 열어구(列禦寇)의 말을 엮은 책.
도교 주요 경전의 하나로 존숭되며, 천서(天瑞)ㆍ황제(黃帝)ㆍ주목왕(周穆王)ㆍ중니(仲尼)ㆍ탕문(湯問)ㆍ역명(力命)ㆍ양주(楊朱)ㆍ설부(說符)의 8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1. 愚公移山(우공이산)
어리석은 영감이 산을 옮긴다.
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꾸준히 노력한다면 결국엔 뜻을 이룰 수 있다는 뜻의 고사성어.
- 湯問篇(탕문편)
2. 朝三暮四(조삼모사)
원숭이에게 (도토리를) 아침에 세 개를 주고 저녁에 네 개를 준다.
얕은 꾀로 속이는 행위를 지칭하지만, 그런 꾀에 속는 어리석은 무리를 비유하는 고사성어.
실제로 아무런 손상없이 사람들을 기쁘게도 하고 노엽게도 할 수 있다는 의미.
- 黃帝篇(황제편)
3. 呑舟之魚(탄주지어)는 不遊支流(불유지류)라.
배를 한입에 삼킬 만큼 큰 물고기는 강의 지류에서 놀지 않는다.
- 楊朱篇(양주편)
4. 黑牛生白犢(흑우생백독)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았다.
연거푸 두 번,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아서 좋은 조짐인 줄 알았는데 부자(父子)가 모두 눈이 멀었으나, 이로 인해 전쟁에 끌려가는 것을 면했고 전쟁이 끝난 후에 눈이 회복되었다.
재앙이 복이 되기도 하고 복이 재앙이 되기도 하며,
길흉화복은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
塞翁之馬(새옹지마), 轉禍爲福(전화위복)과 비슷한 의미.
- 說符篇(설부편)
5. 言美則響美(언미즉향미)오 言惡則響惡(언악즉향악)이라.
말이 아름다우면 그 울림도 아름답고,
말이 악하면 그 울림 또한 나쁘다.
- 說符篇(설부편)
6. 逐鹿者 不見山(축록자 불견산)이오,
攫金者 不見人(확금자 불견인)이라.
사슴을 쫓는 사람에게는 산은 제대로 보이지 않고 사슴만 보이고,
금을 훔쳐가는 사람에게는 지켜보는 사람은 보이지 않고 금만 보인다.
물욕에 눈이 멀면 염치를 잃을 뿐만 아니라, 눈앞의 위험도 제대로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비유하는 말.
- 說符篇(설부편)
7. 杞憂(기우)
기(杞 - 지금의 허난성 치현 河南省 淇县)나라 사내의 쓸데없는 근심.
- 天瑞篇(천서편)
8. 榮啓期三樂(영계기삼락)
영계기(榮啓期 - 춘추시대 공자와 동 시대에 살았던 현인)의 세 가지 즐거움.
자족하며 살아가는 인생의 즐거움을 비유하는 말.
吾樂甚多(오락심다)라.
天生萬物(천생만물)에 唯人爲貴而吾得爲人(유인 위귀이 오득위인)이오니 是一樂也(시일락야)라.
나의 즐거움은 매우 많다.
하늘이 만물을 나게 함에 오직 사람만을 귀하게 하였는데,
나는 사람이 될 수 있었으니 이것이 첫째의 즐거움이다.
男女之別(남녀지별)은 男尊女卑故(남존여비고)로 以男爲貴(이남위귀)라.
吾旣得爲男矣(오기 득위남의)오니 是二樂也(시이락야)라.
남녀의 구별은 남자가 존귀하고 여자가 낮으므로 남자를 귀하게 여긴다.
나는 이미 남자의 몸을 얻었으니 이것이 둘째의 즐거움이다.
人生有不見日月(인생유 불견일월) 不免襁褓者(불면 강보자)이온대,
吾旣已行年九十矣(오기이 행년구십의)오니 是三樂也(시삼락야)라.
사람이 태어나 해와 달을 보지 못하고 강보에 쌓인 채 죽는 사람이 있는데,
나는 이미 90세이니 이것이 셋째의 즐거움이다.
- 天瑞篇(천서편)
📖 열자(列子) ; 만화 형식으로 설명
https://www.youtube.com/watch?v=yVc-xT08N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