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공자 논어(論語) 팔자성어(八字成語, 8자성어), 여덟자 고사성어(故事成語), 더블 사자성어(四字成語) 한문 한자 인생 명언 명구 원문 모음 해석

jc2588.tistory.com/pages/hello 2021. 6. 13. 04:11

 유명인들의 인명별 영어 명언

https://cw2588.blogspot.com

 

☞  Power Healing(파워힐링) 건강 및 명상, 본관별 성씨 블로그

https://blog.naver.com/ph2588

 

 

1) 過而不改(과이불개) 是謂過矣(시위과의).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를 허물이라 이른다.

 

2) 己所不欲(기소불욕) 勿施於人(물시어인)이라.

자기가 바라지 않는 바는 남에게도 행하지 마라.

 

3) 見小利則 大事不成(견소리즉 대사불성)이라.

작은 이익에 욕심내면 큰 일을 성취하지 못한다.

 

4) 恭近於禮(공근어례)遠恥辱也(원치욕야).

공손함이 예절에 가까우면 부끄러움과 욕됨이 멀어진다.

 

5) 非禮勿言(비례물언) 非禮勿動(비례물동)이라.

예가 아니면 말하지도 말고,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도 말라.

 

6) 克己復禮(극기복례) 天下歸仁(천하귀인)이라.

자기를 이겨내고 예로 돌아가면 천하가 인()으로 돌아가리라.

 

7) 博我以文(박아이문)이오 約我以禮(약아이례).

글월로서 나를 넓히고, 예절로서 나를 가다듬는다.

博學於文(박학어문) 約之以禮(약지이례)와도 유사함.

 

8) 子帥以正(자솔이정)이면 孰敢不正(숙감부정)이리오.

당신(윗사람)이 바르게 처신한다면 누가 감히 바르지 않겠는가?

 

9) 見利思義(견리사의)見危授命(견위수명)이라.

이익을 보거든 옳고 그름을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거든 목숨을 내던져라.

 

10) 君君臣臣(군군신신) 父父子子(부부자자).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부모는 부모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

 

11) 貧而無諂(빈이무첨)이오 富而無驕(부이무교).

가난해도 아첨하거나 부정하게 행하지 말고, 부유해도 교만치 말라.

 

12) 以文會友(이문회우)以友輔仁(이우보인)이라.

글월로서 벗들을 만나고, 벗들로 인해서 인()을 더욱 두텁게 한다.

 

13) 學而不厭(학이불염)이오 誨人不倦(회인불권)이라.

배움에 싫증내지 아니하고, 남을 가르침에 권태롭게 여기지 아니한다.

 

14) 篤信好學(독신호학)이오 守死善道(수사선도).

돈독하게 믿고 배우기를 좋아하며, 죽음을 각오하고 옳은 일을 지켜라.

 

15) 逆水行舟(역수행주)不進則退(부진즉퇴).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배는 앞으로 나아가지 않으면 곧 뒤로 밀린다.

 

16) 博學篤志(박학독지)切問近思(절문근사).

다양하게 배우고 뜻을 돈독히 하고, 절실한 마음으로 묻고 가까운 것부터 생각하라.

 

17) 人無遠慮(인무원려)必有近憂(필유근우).

사람이 멀리 내다보고 생각하지 아니하면, 반드시 가까이에 근심거리가 생기게 된다.

 

18) 人能弘道(인능홍도)非道弘人(비도홍인)이라.

사람이 능히 도를 넓히는(닦는) 것이요, 도가 사람의 마음도량을 저절로 넓혀주는 것은 아니다.

 

19) 學如不及(학여불급)이오 猶恐失之(유공실지).

배움은 미치지 못하는 듯이 여겨 끊임없이 노력하고, 배운 것을 잃을까 두려워하듯이 해야 한다.

 

🔍 우리가 몰랐던 공자 - 최진기

https://www.youtube.com/watch?v=SCp1RAHRekU